도화동 [Dohwa-dong, 道禾洞] 인천[Incheon, 仁川] , 1967
사진 최성연 인천부 다소면 도마교와 화동 일대 지역으로, 1914년에 도마교와 화동의 첫 글자를 따서 도화리로 개칭하여 부천군에 편입되었다. 1936년에 인천부에 편입되어 앵정(櫻町)으로 부르...
이우 [李鍝, 1912년 11월 15일 ~ 1945년 8월 7일]
Lee Woo, prince of the Korean Empire 사진 오량관에 금관조복차림의 이우, 촬영장소는 운현궁 1933 Tanaka photo studio 대한제국 황실의 후예이자 일제 강점기의 군인이다. 고종의 다섯째 아...
Korea First BUS 한국 최초의 버스 1911
1911년,일본인 에가와繪川는 포드 8인승 무개차 [無蓋車] 1대를 들여온다. 에가와는 당시 진주에 살았는데,그는 마산과 삼천포 사이를 운행했다. 평균 10여명이 탑승 했으며, 저녁에는 가스등을...
최은희崔恩喜 (1904~1984)
사진 1924년 기자로 활동할 당시의 최은희 한국 최초 여기자이며 최초로 전파에 목소리를 싣고 민간인으로는 최초로 서울 상공을 난 여성 호는 추계(秋溪), 황해도 연백시에서 태어나 니...
한국 최초의 오페라 춘희(라 트라비아타) 시공관 서울, 1948
1940년 조선오페라단에 의한 한국 최초의 오페라 공연은 '흥부와 놀부', 연주회 형식의 공연에 불과했다고 한다. 한국 오페라의 역사는 1948년 1월 16일 서울 명동 시공관에서 처음 공연된 ‘춘...
first Korean painter to adopt Western styles. Na Hye-suk 나혜석 [羅蕙錫, 1896 ~ 1949] 사진 화실에서 1931년
한국 최초의 서양화가 Na Hye-sok (1896–1948) was a pioneering Korean feminist writer and painter. She was the first female professional painter and the first feminist writer ...
이병철 [李秉喆, 1910.2.12 ~ 1987.11.19]
삼성그룹의 모체인 삼성상회를 설립하고 삼성물산을 세워 무역업을 하면서 제일제당과 제일모직,《중앙일보》 창설 호 호암(湖巖). 경상남도 의령(宜寧) 출생. 본관은 경주(慶州). 호는 호암(湖...
『보통학교 조선어 사전』 심의린 1925
한국인 제작한 최초의 한글사전 사진 1925년 10월 서울출판사 이문당에서 발간된 초판본 한국 최초의 사전은 1880년 불란서 선교사들이 만든 한불자전(韓佛字典). 국어사전의 역사는 출판되지 ...
국민소학독본 [ 國民小學讀本 ] 1895년(고종 32)
1895년(고종 32) 학부에서 편찬, 간행한 개화기 국어교과서. 제 1과 대조선국 우리 대조선은 아시아 주 중의 한 왕국이라, 그 모양은 서북에서 동남으로 뻗은 반도국이, 기후가 서북은 매우 추...
원적산 [元績山, Wonjeoksan] Incheon, 1971
인천광역시의 부평구와 서구의 경계 지점에 위치한 산이다 『신증동국여지승람』과 「부평부읍지」에 '부평부의 서쪽 15리 되는 곳에 있다.'고 되어 있다. 『여지도서』에서도 지명이 확인된다....
한국 최초의 시사만화 대한민보, 1909
이미지 설명 1회는 한 신사가 고개를 들고 네 마디 말을 내 뿜는 장면을 묘사한다. 실크해트와 카이저수염, 연미복과 지팡이로 상징되는 개화기 신사가 ‘대한민보’의 한 글자씩을 이용해서 4...
필라델피아 Philadelphia, 1919
1919년 4월 14일부터 16일까지 필라델피아의 <소극장>에서 개최된 <한인대표자대회>에 참석했던 대표들의 기념사진, 왼쪽에서 세 번째가 민찬호, 둘째 줄의 그 다음이 정한경, 그리...
이도영[李道榮·1884∼1934]
한국 최초의 만화가 - 현대만화의 시작은 1908년 7월에 경성일보사가 발간한 유길준의 “노동야학독본”의 삽화로 보고 있으며 1909년 6월 2일 대한민보 창간호에 게재된 이도영의 삽화는 최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