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irst Korean painter to adopt Western styles. Na Hye-suk 나혜석 [羅蕙錫, 1896 ~ 1949] 사진 화실에서 1931년
한국 최초의 서양화가 Na Hye-sok (1896–1948) was a pioneering Korean feminist writer and painter. She was the first female professional painter and the first feminist writer ...
저동 [Jeo-dong, 苧洞] Seoul , 1953
photo Robert T. Hoyt 서울 중구 저동 영락교회의 옛 모습. '영락성경구락부' 현판이 달려 있는 문 주변으로 학생들이 모여 있다. 지명은 상점인 저포전(苧布廛)이 있었다는 데에서 연유한다.&n...
한국 최초의 오페라 춘희(라 트라비아타) 시공관 서울, 1948
1940년 조선오페라단에 의한 한국 최초의 오페라 공연은 '흥부와 놀부', 연주회 형식의 공연에 불과했다고 한다. 한국 오페라의 역사는 1948년 1월 16일 서울 명동 시공관에서 처음 공연된 ‘춘...
나락뒤주 narakduiju
it is a chest stroe rice refind after the fall harvest. bamboo pieces are woven to form walls, and clay is spread over inner surface to prevent rice from leaking out, and chestnut ...
종로 [Jong-ro, 鍾路] Seoul, 1880
photo 헨리 게하르트 아펜젤러(H.G. Appenzeller) 목사 1876년 개항 후 종로, 흥인지문에서 촬영 운종가 중심부가 기와집이 많은 반면 초가집이 많이 보인다. 흥인지문 바깥(왕십리일대)...
압구정 [Apgujeong, 狎鷗亭] 정선(鄭敾) 1676~1759
견본담채 (絹本淡彩), 31.5 x 20.3 cm, 간송미술관 한명회(韓明會) 1415 ~ 1487 조선시대 세조 때의 권신 한명회(韓明會)가 지은 압구정이라는 정자가 있어 붙은 이름이며, 아파트 단지를 건설...
의병 [義兵] Army raised in the cause of justice 제천 [Jecheon, 堤川] , 1907
1907년 영국 Daily Mail 기자 프레더릭 아서 매켄지 Frederick Arthur McKenzie(1869–1931)가 제천에서 원주로 넘어가면서 만난 의병들 * 프레더릭 아서 매켄지 Frederick Arthur McKenz...
만화가게 Comic Shop Seoul, 1970
1970 ~ 1980년대 초반까지는 만화가게의 전성기 1원에 6권 정도볼수 있었다고 한다. 라디오와 몇안되는 마을의 흑백 TV 시절 서울시는 만화산업을 육성하고 관광명소로 만들기 위해 남산 인근에...
연경 담배의 모든 것 18세기 조선의 흡연 문화사
이옥 저 |안대회 역 |휴머니스트 |2008.01 18세기 조선 사대부 이옥이 쓴「연경」을 소개하는 책이다. 담배와 흡연을 다룬 저작인「연경」은 총 4권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1권부터 3권까지는 담...
태평로 [Taepyeong-ro, 太平路] Seoul, 1912
1910년 태평로 확장공사 모습, 멀리 남대문이 보인다 일본는 총독부를 앞세워 1911년부터 자동차용 도로개발 사업을 시작했다. 제1기 7개년 치도사업은 공사비 1천만 원으로 7년간의 공사를 통...
한국의 사전과 사전학 박형익 저 |월인|2004.05.08
사전에 대한 일반적인 내용과 여러 종류의 사전 분석을 다루었다. 지금까지 발행된 모든 사전들의 목록을 작성하고 사전들을 수집하여 각각의 사전들이 사전 편찬의 역사에서 차지하는 위상을 ...
『보통학교 조선어 사전』 심의린 1925
한국인 제작한 최초의 한글사전 사진 1925년 10월 서울출판사 이문당에서 발간된 초판본 한국 최초의 사전은 1880년 불란서 선교사들이 만든 한불자전(韓佛字典). 국어사전의 역사는 출판되지 ...
1927년 상아象牙를 이용한 코성형 수술
조선일보는 1927년 5월 15일자부터 20일자까지 당시 병원에서 행해졌던 '코 높이기 수술'을 소개한 특집기사를 연재했다. 이 시리즈의 제목은 '나진(낮은) 코를 인공으로 높이는 이야기'....
Korea First BUS 한국 최초의 버스 1911
1911년,일본인 에가와繪川는 포드 8인승 무개차 [無蓋車] 1대를 들여온다. 에가와는 당시 진주에 살았는데,그는 마산과 삼천포 사이를 운행했다. 평균 10여명이 탑승 했으며, 저녁에는 가스등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