天墉城的头像-THE FREE SKY
这家伙很懒,什么都没有写...
부산 [Busan, 釜山] , 1960-THE FREE SKY
온양 [溫陽] , 1960-THE FREE SKY

온양 [溫陽] , 1960

위생도시로 선정된 온양의 쓰레기 수거차량 및 방역차량
4月3日 14:09
08050
비산동 [Bisan-dong, 飛山洞] Anyang, 1972-THE FREE SKY

비산동 [Bisan-dong, 飛山洞] Anyang, 1972

1972년 3월 안양읍 비산리 (현 비산1동) 사무소 앞에서 새마을운동 필승대회를 개최하고 있다.
4月3日 14:10
07480
만화가게 Comic Shop Seoul, 1970 -THE FREE SKY

만화가게 Comic Shop Seoul, 1970

1970 ~ 1980년대 초반까지는 만화가게의 전성기 1원에 6권 정도볼수 있었다고 한다. 라디오와 몇안되는 마을의 흑백 TV 시절 서울시는 만화산업을 육성하고 관광명소로 만들기 위해 남산 인근에...
4月3日 14:10
09930
London 1917-THE FREE SKY

London 1917

4月3日 14:12
08160
연경 담배의 모든 것 18세기 조선의 흡연 문화사-THE FREE SKY

연경 담배의 모든 것 18세기 조선의 흡연 문화사

이옥 저 |안대회 역 |휴머니스트 |2008.01 18세기 조선 사대부 이옥이 쓴「연경」을 소개하는 책이다. 담배와 흡연을 다룬 저작인「연경」은 총 4권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1권부터 3권까지는 담...
4月3日 14:40
08900
태평로 [Taepyeong-ro, 太平路] Seoul, 1912-THE FREE SKY

태평로 [Taepyeong-ro, 太平路] Seoul, 1912

1910년 태평로 확장공사 모습, 멀리 남대문이 보인다 일본는 총독부를 앞세워 1911년부터 자동차용 도로개발 사업을 시작했다. 제1기 7개년 치도사업은 공사비 1천만 원으로 7년간의 공사를 통...
4月3日 14:42
09880
한국의 사전과 사전학 박형익 저 |월인|2004.05.08-THE FREE SKY

한국의 사전과 사전학 박형익 저 |월인|2004.05.08

사전에 대한 일반적인 내용과 여러 종류의 사전 분석을 다루었다. 지금까지 발행된 모든 사전들의 목록을 작성하고 사전들을 수집하여 각각의 사전들이 사전 편찬의 역사에서 차지하는 위상을 ...
4月3日 14:43
012800
『보통학교 조선어 사전』 심의린 1925-THE FREE SKY

『보통학교 조선어 사전』 심의린 1925

한국인 제작한 최초의 한글사전 사진 1925년 10월 서울출판사 이문당에서 발간된 초판본 한국 최초의 사전은 1880년 불란서 선교사들이 만든 한불자전(韓佛字典). 국어사전의 역사는 출판되지 ...
4月3日 14:44
015940
1927년 상아象牙를 이용한 코성형 수술-THE FREE SKY

1927년 상아象牙를 이용한 코성형 수술

조선일보는 1927년 5월 15일자부터 20일자까지 당시 병원에서 행해졌던 '코 높이기 수술'을 소개한 특집기사를 연재했다.  이 시리즈의 제목은 '나진(낮은) 코를 인공으로 높이는 이야기'....
4月3日 14:45
08790
Korea First BUS 한국 최초의 버스 1911-THE FREE SKY

Korea First BUS 한국 최초의 버스 1911

1911년,일본인 에가와繪川는 포드 8인승 무개차 [無蓋車] 1대를 들여온다. 에가와는 당시 진주에 살았는데,그는 마산과 삼천포 사이를 운행했다. 평균 10여명이 탑승 했으며, 저녁에는 가스등을...
4月3日 14:46
021170
국민소학독본 [ 國民小學讀本 ] 1895년(고종 32)-THE FREE SKY

국민소학독본 [ 國民小學讀本 ] 1895년(고종 32)

1895년(고종 32) 학부에서 편찬, 간행한 개화기 국어교과서. 제 1과 대조선국 우리 대조선은 아시아 주 중의 한 왕국이라, 그 모양은 서북에서 동남으로 뻗은 반도국이, 기후가 서북은 매우 추...
4月3日 14:47
015780
한국 최초의 시사만화 대한민보, 1909-THE FREE SKY

한국 최초의 시사만화 대한민보, 1909

이미지 설명 1회는 한 신사가 고개를 들고 네 마디 말을 내 뿜는 장면을 묘사한다. 실크해트와 카이저수염, 연미복과 지팡이로 상징되는 개화기 신사가 ‘대한민보’의 한 글자씩을 이용해서 4...
4月3日 14:48
015201
조식 [曺植, 1501 ~ 1572] -THE FREE SKY

조식 [曺植, 1501 ~ 1572]

사진 조식 편지, 초상 1501년(연산군 7년) 경상좌도(慶尙左道) 예안현(지금의 경북 안동) 온계리에서 퇴계 이황이 태어나고, 경상우도(慶尙右道) 삼가현(지금의 경남 합천) 토동에서 남명 조식(...
4月3日 14:49
010680
의병 [義兵] Army raised in the cause of justice 제천 [Jecheon, 堤川] , 1907-THE FREE SKY

의병 [義兵] Army raised in the cause of justice 제천 [Jecheon, 堤川] , 1907

1907년 영국 Daily Mail 기자 프레더릭 아서 매켄지 Frederick Arthur McKenzie(1869–1931)가 제천에서 원주로 넘어가면서 만난 의병들  * 프레더릭 아서 매켄지 Frederick Arthur McKenz...
4月3日 14:49
011040
최은희崔恩喜 (1904~1984)-THE FREE SKY

최은희崔恩喜 (1904~1984)

사진 1924년 기자로 활동할 당시의 최은희  한국 최초 여기자이며 최초로 전파에 목소리를 싣고 민간인으로는 최초로 서울 상공을 난 여성 호는 추계(秋溪), 황해도 연백시에서 태어나 니...
4月3日 14:50
019110
정수일,<한국 속의 세계 상-하>,창작과비평사,2005년-THE FREE SKY

정수일,<한국 속의 세계 상-하>,창작과비평사,2005년

조선은 닫힌 나라였는가 - 바깥 향해 열려있던 조선 500년  흔히들 조선시대를 멍들게 한 병폐의 하나로 ‘쇄국’을 꼽는다. ‘쇄국’으로 인해 나라가 근대화를 이루지 못하고 급기야 망...
4月3日 14:53
010060
창신초등학교 [Changshin Elementary School, 昌新初等學校] ] Masan, 1936-THE FREE SKY

창신초등학교 [Changshin Elementary School, 昌新初等學校] ] Masan, 1936

사진 창신학교 100년사  창신학교 진급기념 사진 1936년 3월 10일 폐교될 무렵 창신학교 초등과에 재학하다가 폐교와 더불어 완월국민학교 분교로 편입된 학생들
4月3日 14:54
010650
두월동 [Duwol-dong, 斗月洞] Masan, 1920's-THE FREE SKY

두월동 [Duwol-dong, 斗月洞] Masan, 1920's

두월동 모습 거리에는 상업용 건물로 가득 차 있으며 도로의 안쪽에도 건물이 모두 들어서 있다. 원래 합포현(合浦縣)에 속한 지역으로 조선시대 태종 때 창원부에 편입되었으며 1898년(융희 2)...
4月3日 14:54
011340
선학동 [Seonhak-dong, 仙鶴洞] Incheon, 1960's-THE FREE SKY

선학동 [Seonhak-dong, 仙鶴洞] Incheon, 1960's

우측 위쪽이 문학산 방향, 좌측 아래 방향은 승가천을 지나 남촌동 방향 인천부 구읍면 지역으로, 도재 또는 도장리(道章里)라고 하였다. 1914년에 부천군 문학면에 편입되었고, 1940년에 인천...
4月3日 14:56
010510